본문 바로가기

디자인수업 (11년 上)/생활속의 디자인

생활속의 디자인 #12차시 - 인간만이 자연환경을 이용하고 변형하고 조절 할 수 있음 > 환경위기의 대두 - 생태디자인 : 자연환경 - 인간 - 구축환경의 전일성을 인식하는것, 즉 하나이다. - 자동차 디자인을 암모나이트 화석의 모양을 이용해서 디자인 하는것처럼 , 자연의 형상을 이용하는 디자인 - 생태디자인 : Recycle, Reduce, Reuse - 기는 산을 타고 흐르고, 기는 물을 만나면 멈추게 되는데, 이 멈추는 곳에 집을 짓고 살면 건강하게 살 수 있다라는 기본 풍수지리설 즉, 자연과 인간의 조화에 개념을 두고 건축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더보기
생활속의 디자인 #11차시 - 알리안츠 스타디움 : 피막 (클래딩)을 활용한 좋은 사례, 2개의 홈팀이 사용하는데 각 사용팀마다 피막안의 발광체를 이용하여 다른 색을 나타나게 하여 전달함. 이것은 전형적인 디지털 기술로 인한 디자인 패러다임사례의 전형이라고 할 수 있음. 더보기
생활속의 디자인 #10차시 - 한국 문화의 정체성 : 조선시대의 풍경, 주택, 좌식생활, 한복, 음식 등...? - Vernacular : 한지방에서 쓰이는 일상사투리등의 고유언어, 특정 지역의 사물, 건축 등에 나타나는 문화적 특성. - 버네큘러 디자인은 특별한 이념과 계획이 없이 이루어진 토속적 디자인 - 버네큘러 디자인의 가장 큰 특징은 익명성이다. 일상적이고 관습적이고 비 계획적이다. 누가 만들었다라는 것이 정확하지 않다. 단순히 지역적 특징일 뿐 - 과일을 주렁주렁 달아놓으면 풍족함을 나타내고 연등을 나타내면 축하할 일이 생긴다 등, 그 지역의 의미있는 문화적 요소를 디자인요소로 사용하게 끔. - 기후적인 풍토등에 의해서도 많은 영향을 받을 수 있음. 중국을 보면 위도가 높을 수록 개방형 주택이고 낮을 수록 폐쇄적인 주거.. 더보기
생활속의 디자인 #9차시 - 디자인 패러다임 중 인간 지향적 디자인 패러다임. - 이미지의 소비 : 동일한 오브젝트나 제품에 다양한 이미지를 넣음으로써 기능적인 면에는 전혀 영향을 주지 않지만, 이미지를 소비함으로써 사용자에게 감성적 만족감을 줄 수 있음. - 행태기반의 디자인 : 예를 들어서 길거리에 1 feet 정도의 기둥모양 부터 2,3,4,5,6 feets 까지 다양한 기둥이 있다고 하자. - 사람은 1 feet 의 기둥에는 앉을 수 있으며, 2 feets에는 걸터 앉기, 3 feets에는 책 놓고 볼수 있게, 4 feet면 팔을 놓고 기대고 5 feets는 뭔가 넘어서 보고 싶은 느낌을 주고 , 6 feets는 그냥 담이라고 생각한다. - 결국 어떠한 것을 디자인 할때 반드시 그 주변에 필수적으로 존재하게 되는 사람의 .. 더보기
생활속의 디자인 #7차시 - 시각메시지의 특징 : 직접적이고 현실적이긴 하나, 함축적이고 암시적이어서 애매모호하기도 하며, 항상성이 있다. > 항상성 : 시계의 경우 좌측에서 우측으로 계속 흐르고 고정된 각도로 시침 분침이 움직인다는 것을 이해한다. - 언어적 기호 : 공항의 이정표처럼 글이나 말로서 정보를 전달하는 것 - 비 언어적 기호 : 포크와 나이프는 식당, 노란색 승용차는 뉴욕의 택시를 나타내는 것처럼 상징적 의미를 지니는 것. ★ Visual Graphic의 종류 - CIP : Corporate Identity Program - 기업을 집단, 단체, 공동체, 조직체로서 해석한 조직체의 이미지 통일화, 통합화계획 - CI의 역할과 효과 > 1. 커뮤니케이션 확대 > 2. 회사의 정체성 개성등을 구현 > 3. 기업 활성화.. 더보기
생활속의 디자인 #6차시 - 제품 디자인 (Product Design) > 대량생산을 전제로 하였으나, 최근에는 다품종 소량생산의 트렌드도 있음 > 기능과 형태가 합리적이여야 한다. > 기본 방향은 기능과 만족성을 위주로 설계가 되고, → 앞의 것이 만족되면 심리적 심미적인 측면이 반영되어야 한다. > 신 기술과 신 기능을 탑재하는 중요한 과정이 된다. > 제품 디자인을 할 때에는 그 제품이 놓여질 수 있는 장소를 고려해서 디자인 되어야 한다. > 상황에 따라서 Stand alone인가 system으로 활용될 수 있는가를 반영 > 주변여건이 제품의 특징을 결정한다.그리고 사용자에 따라서도 다르고 목적에 따라서도 다르게 디자인 되어야 한다. > 재질에 따라 다르게 해석되어야 한다. - 상품 디자인 > 제품이 디자인되어서 생산이 되.. 더보기
생활속의 디자인 #5차시 - 공간디자인 정의: 인간 삶의 모든 공간을 창조하고 구축하는 공간적 문제해결의 과정 - 공간디자인 목표 : 인간과 환경사이의 관계를 질서짓고 조화를 이루며 제반요소의 재 창조 및 재 구성하는 것 - 공간디자인 필요이유 : 쾌적을 추구하고, 즐거움을 추구하는 인간의 특성 때문임. - 실내장식 : 근원은 중세의 실내장식에서 유래됨. (소수의 권력층을 위한 장식미술에서 발전) - 근 현대에 와서는 평면(장식위주)을 넘어서 3차원적인 공간조형을 이룸(건축가와 협력이 많이 필요함) - 실내건축(Innerachitectur) : 건축물 내부의 또 다른 건축적 작업 > 근현대의 실내 디자인(Interior design)이 됨. ▶ 실내장식 > 실내디자인/실내건축 > 공간디자인 순으로 발전해 왔다. - 공간디자인의 .. 더보기
생활속의 디자인 #4차시 - 생활 디자인 : 인간 주변의 모든것에 대한 생활 자체에서 생기는 목표와 문제점을 가지고 분석을 하여 디자인 한 결과물 - 분석과정은 크게 아래 두가지를 사용함. - 5W 1H (Who, When, Where, What, How, Why)를 이용해서 간단하게 수행함. - SWOT 분석 : Strength, Weakness, Opportunity, Threat - 생활디자인을 디자인 하는것은 Business model을 발굴하는 개념과 비슷하다. 연령별 세대별, 직업별 등의 다양한 인간의 구분단계를 분리해놓고, 해당영역(작업, 의식주, 활동, 친교)의 작업을 구분해서 거기에 맞는 조사를 실시한다. 가급적 범용적이어야 할 것이며, 거기에 필수적인 문제점등을 추출한다. - 추출된 문제를 바탕으로 6하원칙 또.. 더보기
생활속의 디자인 #3차시 - Good Design 이란? > 라즐로 모홀리 나기 : 제품에서 미래의 경향을 예측 할 수 있는 단서를 제공해 주는것 > 부르스 아처 : 어느한가지만 뛰어난 것이 아니라 총체적으로 뛰어난것 > 토마스 왓슨 2세 : 굿 디자인은 굿 비즈니스다 - 굿디자인은 명확한 기준을 세우기 어려움, 비즈니스입장에서는 잘팔리는 것이 굿 디자인이지만,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다를 수 있는 것이다. - 디자인의 정의에 충실한 것이 굿 디자인이다. 이러한 굿디자인 제도가 있다. GD 마크라고 많이 보았을 것이다. - 굿디자인제도는 너무 기업에 포커스가 맞추어 져 있어, 좀더 평가기준을 완벽히 가져 갈 필요가 있다. - 굿 디자인의 조건 1. 합 목적성 : 실용성과 기능성을 따지는 능력을 말함. 생리적이나 물리적 심리적 욕구와.. 더보기
생활속의 디자인 #2차시 2차시 : 조형예술과 디자인 - 디자인과 예술은 다르다. 디자인 / 예술 : 연속물을 만듦 / 원형을 만듦 : 계약을 통한 서비스 / 스스로를 위해 존재 : 객관성을 요구함 / 주관적임 : 지적타협 / 타협을 배제 : 현실 지향 / 유토피아 지향 : 이해할 수 있어야 하고 / 이해할 필요가 없음 : 확고한 관습에서 출발 / 관습을 탈피 - 디지털조형 연습 1차시와 매우 유사한 내용. 그 쪽을 참고. - 디자인의 역사를 간단히 말하자면 1. 생존을 위함 > 2. 자연을 모방함 > 3. 장식을 함 > 4. 대중을 위하여(기능) > 5. 기능 + 감성을 위함(앞 단계의 모두) - 디자이너의 구분 1. 삼류 디자이너 : 미적 측면 기능적 측면을 해결 2. 이류 디자이너 : 기업, 고객의 요구를 합리적으로 해결 .. 더보기
생활속의 디자인 #1차시 - 디자인이란 무엇인가? - 디자인의 의미 : Designare (데지그나래) : 지시, 표시하다, 밑그림을 그리다 : Desegno (데세뇨) : 소묘하다. : Dessin (데셍) : 목표, 계획, 회화의 밑그림에서 유래함. → 산업혁명 이후 대량생산체제로 인해 보편적인 용어로 등장함. - 디자인에 대한 정의 : 디자인은 모든것을 아름답게 하는 꿈이며 그 능력이다. : 디자인은 삶 그자체이며, 생활의 예술이다. : 디자인은 문화다. : 디자인은 사회적 과정이다. → 디자인은 사회성을 가지게 된다. : 디자인은 커뮤니케이션 수단이다. - 난방이 문화에 큰 영향을 주었다고도 한다. 입식 좌식 생활 - 디자인의 발전과정은 도구의 발전과정이라고 볼 수도 있음 - 디자인은 생존과 생식을 위한 언어나 문자 기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