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디자인수업 (11년 上)/생활속의 디자인

생활속의 디자인 #10차시

 - 한국 문화의 정체성 : 조선시대의 풍경, 주택, 좌식생활, 한복, 음식 등...?

 - Vernacular : 한지방에서 쓰이는 일상사투리등의 고유언어, 특정 지역의 사물, 건축 등에 나타나는 문화적 특성.

 - 버네큘러 디자인은 특별한 이념과 계획이 없이 이루어진 토속적 디자인

 - 버네큘러 디자인의 가장 큰 특징은 익명성이다. 일상적이고 관습적이고 비 계획적이다. 누가 만들었다라는 것이 정확하지 않다.
   단순히 지역적 특징일 뿐

 - 과일을 주렁주렁 달아놓으면 풍족함을 나타내고 연등을 나타내면 축하할 일이 생긴다 등, 그 지역의 의미있는 문화적 요소를
   디자인요소로 사용하게 끔.

 - 기후적인 풍토등에 의해서도 많은 영향을 받을 수 있음. 중국을 보면 위도가 높을 수록 개방형 주택이고 낮을 수록 폐쇄적인 주거
   공간의 특징적 요소가 있다.

 - 한국적인 디자인 : 산업사회로 진입이 늦어 다소 디자인 분야의 출현 시기가 늦음.

 - 한국의 특수성 : 탈화(신발벗는), 좌식(온돌문화), 식생활(김치), 항아리, 한복, 제례 등이 우리문화의 특수성을 나타내는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