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폰트의 이해
- 폰트란 : 같은 크기와 서체 스타일을 가지는 한 벌의 글자.(문자와 부호도 포함)
- 폰트의 구성
1. 글자의 넓이 : 알파벳은 M과 W가 가장 넓고 'I' 가 가장 좁음
한글은 글자의 넓이가 대부분 같음
→ 시각적 양감 : 영문이나 알파벳의 글자간격 사이 공간에 컵으로 물을 붓는다고 가정할때 동일한 양의 물이 채워진다면
그 글자의 시각적 양감은 우수하다고 할 수 있다.
2. 글자의 크기 : 현대는 포인트 치수 체계를 사용 (1 inch = 72 point = 6 Pica)
숫자 < 영문 < 한글 순으로 한글이 크기가 가장크다. 따라서 디자인을 할때 이 것들의 비율을 잘 조정
3. 글자의 굵기와 폭 : 세, 중, 태, 견출, Extrabold, Bold, Medium, light.
4. 글자의 기울기와 변형 (타입패밀리 = 폰트 + 기울기 + 변형)
: 이탤릭체, 우사체, 기운체로 불림.
- 폰트의 조화 : 통일감 + 변화의 요소가 있어야 함.
> 대개의 경우 두 세가지의 글자체를 함께 사용하는 예가 많음.
1. 다른 종류의 정보전달을 위해
2. 제목과 본문의 구별을 위해
3. 같은 정보 중에서 더욱 중요한 내용을 강조하기 위해
======================================================================================================
한글 폰트의 구성
- 첫 닿자(자음) 19자, 홀자(모음(21자), 받침 닿자 27자 등 총 67자로 이루어짐.
- 완성형 폰트는 2350자의 글자가 필요하다. 이 외에도 조합형 글자가 있는데, 기본적으로 마이크로 소프트사의
유니코드가 많이 쓰이는데 전세계의 글자를 2바이트로 만든것인데 총 65,535자 인데 이중 한글은 11,172자가 할당
되어 있고 한자는 약 2만 5천자가 할당되어 있다.
- 한글 활자의 크기는 가장 높은 크기의 글자를 기준으로 한다.
- 글자너비 (자간) , 글줄 사이(행간), 글줄 사이는 한줄과 한줄사이의 넓이인데 1/2에서 1배까지가 적당.
한글 폰트의 유형
- 바탕체(명조체)
> 일본에 영향을 받아 들어옴. 가독성이 높아 인쇄물에 많이 쓰인다. 1991년 문체부에서 정함
- 돋움체(고딕체)
> 일본에 영향을 받아 들어옴. 제목용으로 많이 쓰이고, 1991년 문체부에서 정함.
- 필기체(손 글씨체)와 장식적인 형태의 폰트혁필(가죽으로 쓰여진 글자) 들이 있음, 궁서체(서예체),
- 손 글씨체에서는 옛체(서예)형과 켈리그라피가 있다.
> 캘리그라피는 아름다운 서체라는 그리스 뜻에서 유래, 옛체는 손으로 그린 그림문자를 말함.
===========================================================================================================
세리프가 있는 영문폰트
- 올드 스타일 : 펜 글씨 형태의 활자 꼴, 올드로만, 올드페이스 스타일이라고 부름.
1. 세리프가 아름다움
2. 가로획과 세로획의 굵기 차이가 심하지 않음
3. 기하학적인 형태를 보임. 영문 한글자가 정사각형이나 원의 모양을 따라가고 있음.(M은 정사각형, G는 원)
- 모던 로만 : 굵기의 대비가 강하고, 프랑스의 디도와 이탈리아의 보도니체가 있다.
1. 타원과 직사각형으로 구성
2. 넓은건 넓어지고 좁은건 좁아졌음
- 세리프가 없는 영문 폰트(산 세리프)
1. 명시성이 높아 제목으로 사용
2. 산(Sans)는 라틴어로 없다라는 뜻
3. 20세기에 널리쓰임
4. 헬베티카 체가 대표적 체
=============================================================================================================
국문과 영문의 비교
- 올드스타일 vs 바탕체 (이렇게 두 서체가 유사함)
> 바탕체와 바탕 서체의 차이는 (자간 폭에서 차이가 난다. 바탕체는 고정폭, 바탕은 가변폭을 사용한다.)
- Sans 세리프 vs 돋움체
- 영문과 한글의 차이점
1. 문화적 차이 : 역사가 짧아 한글은 많이 변하지 않았다. 영문은 역사가 길어 변화가 많았다.
서양은 펜 문화 동양은 붓 문화.
2. 조형적 차이 : 동양 - 종이와 붓을 사용함으로 선의 굵기와 농담에 의해 유연하고 자유로움
서양 - 펜과 양피지 를 사용하고 굵기와 변화폭이 일정하고 세밀한 특징을 가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