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디자인수업 (11년 上)/타이포 그래피

타이포그래피 #5차시

 - 타이포 그래피의 가독성과 판독성

 - 가독성이란?
    > 인쇄물이나 본문에서 글자가 얼마나 쉽게 읽혀지는가?(정보취득능력)

 - 판독성이란?
    > 글자 하나하나가 얼마나 잘 보이는가 하는 시각적 가시도.
    > 판독성이 높은 글자는 순간적으로 봐도 무슨 글자인지 안다.(교통 표시판) 다른말로 명시도가 좋다는 말과 같다.

 - 가독성과 판독성을 위한 폰트 선정
   > 글자가 놓이는 공간과 레이아웃 고려
   > 사진 로고 등의 조형요소와 어울림
   > 시선 흐름을 유도할 수 있는 폰트 속성

 - 가독성의 요소
   서체 / 자간 / 어간 / 행간 / 정렬 / 색상 / 배열 / 글줄길이 / 크기

    1) 서체
        : 한 본문에는 2~3개의 서체 사용.
        : 두가지 이상 서체를 사용시 대립 대조 여부 파악, 같은 스타일의 서체를 사용하는 것이 무난하다.
        : 사용자에게 많이 노출되고 익숙한 서체일수록 가독성이 높아진다.
        : 세리프 계열이 대체로 가독성이 높다. (명조 계열의 서체를 교과서에 많이 쓴다.)

   2) 크기 및 자간 어간
        : 10~12포인트가 적당.
        : 자간과 어간 변형 으로 시각적 유도는 가능하나 가독성은 떨어 질 수 있다.

    3) 행간
         : 글 줄 사이의 간격
         : 행간이 너무 넓으면 다른 내용처럼 보일 수 도 있다.
         : 글줄 길이가 길면 행간도 넓게 하는 것이 좋다. 

    4) 정렬
         : 좌측/우측/중앙/양끝/비대칭(우/좌/중앙 등이 섞여 있음) 정렬이 있다.

 - 판독성의 요소
     서체, 글자의 디자인 / 글자의 크기 / 글자의 넓이 / 글자의 두께

      1) 글자체
          : 산세리프 계열이 세리프 계열보다 판독성이 높다.
          : 공공부문에서 많이 사용됨.

       2) 글자의 크기
          : 클 수록 당연히 판독성이 높다.

        3) 글자의 넓이와 두께

===================================================================

 - 기능적 타이포 그래피와 실험적 타이포 그래피

 - 기능적 타이포 그래피

    > 문자의 1차적인 기능 내용과 의미 전달에 포커스가 주어짐.
    > 각 매체별 특성에 따라 (신문, 주간, 사보, 잡지, 팜플렛, 브로셔, CI 등등) 적합함을 고려해야 함.
    > 주목성이 높아야 함.
    > 가장 대표적인 타이포 그래피 (기업로고), 신문, 잡지, 광고, Sign(화장실,안전표시 등)

 - 실험적 타이포 그래피
    > 정보전달이 무시되기도 함.
    > 블렌딩 (그라데이션) - 착시나 볼륨감을 주기 위해서 사용 됨.
    > 변형과 왜곡으로 흥미와 재미를 불러 일으킴.
    > 추가와 삭제 (글자를 하나 제거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무슨 글자인지 읽기게 하는) 일종의 노이즈 마케팅과 비슷한.
    > 방향성과 글자의 회전
    > 군집성, 반복성과 패턴
    > 기초조형요소 (점 선을 이용하여 활용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