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흰색은 빛의 대부분의 파장을 반사하면 보이는 색깔, 검은색은 대부분의 빛 파장을 흡수하는 색깔.
- 색의 분류
> 유채색 vs 무채색
> 유채색은 색상 채도 명도를 가지고 있다.
- 색상은 물체의 표면에서 선택적으로 반사되는 색 파장의 종류에 의해 결정됨
- 색상환 : 스펙트럼에서 전개된 색상을 나타낸것이고, 대응하는 보색은 서로 마주 보게, 인접한 색들은 매우 유사한
색상을 나타냄.
- 먼셀의 입체 표색계 (색상환을 기초로 입체와 거리감으로 나타낸 색 표)
> 색상환 띄를 기준으로(색상 표시)
> 중심에서 거리를 나타내는 채도를 표현하게 하고(채도 표시)
> 수직축으로는 명도를 표현함
> 색상, 채도, 명도를 모두 표현하게 한 표 색계
- 명도 : 밝고 어두운 정도를 나타냄.
- 같은 명도의 색이라도 광원의 세기에 따라 다르게 느껴짐.
- 가장 높은 채도를 가진 순색은 각기 다른 명도를 가짐 : 흰색 > 노란색 > 주황색 > 빨강 > 초록 > 파랑 > 검정
- 채도 : 색의 순색의 정도 (즉, 선명하고 탁한정도 또는 맑고 흐린정도)
- 색의 삼원색 (색료의 삼원색 ) : CMYK 모드 - 잉크나 물감의 기본
> 자주(Magent), 노랑 (Yellow), 청록 (Cyan) 이 세가지 색을 1차색이라고 함.
> 색을 다 섞어버리면 검은색이 나옴. (CMYK의 K는 블개을 말함)
- 빛의 삼원색 (디스플레이, 모니터 등) : RGB모드 - 반사과정을 보는것이 아닌 빛의 색을 직접 보는것.
> Red, Green, Blue로서 다 합치면 흰색으로 나오게 됨.
- 색은 보편적이다. 붉은색은 주위집중, 따뜻함 등을 나타내는 것 처럼.
- 로고를 보았을 때 기본적으로 글자보다 색을 먼저 느끼고 기억한다는 연구 결과가 있음.
- 색의 가독성 : 자간과 행간을 조절해서 색상이 진해지거나 연해지게 할 수 있다.
- 유사색의 타이포 그래피 : 난색은 난색끼리, 한색은 한색끼리의 조함 - 안정적인 느낌을 줄 수 있음.
- 보색대비의 타이포 그래피 : 강렬한 채도대비를 가지고 색상도 뚜렷해 보임.
- 명도대비 : 밝고 어두운 요소를 이용한 대비. 상대적으로 색상이 과대평가되어 보이게 됨.
- 채도대비 : 두색의 영향으로 원래 채도가 변하는 현상 (주로 작은 면적의 색의 채도가 변하여 보이는 현상)
- 면적대비 : 같은 색상이라고 하더라도 면적에 따라 다르게 보임 (크면 분명해지고 강해보임, 작으면 축소됨)
- 색채의 감성
> 흰색이 가벼워 보인다. (흰색과 까만색 가방)
> 시간이 빨간색이 시간의 경과를 오래 느끼게 한다. 파란색 대비
> 붉은색선호 (외향적) 푸른색 선호(내향적) , 내성적이면 좋아하는 색이 자주 바뀜. 외향적이면 좋아하는 색이 잘 안바뀜.
- 색채의 온도 : 난색(빨강, 주황, 노랑), 한색(파랑, 녹색)
- 여성적인 색채 (파스텔톤) - 부드러운 색
- 남성적인 색채 - 검정 회색 등의 단색
- 식욕색 : 적색, 적주황, 복숭아, 핑크, 황갈색, 갈색
- 식욕감퇴색 ; 적자색, 보라, 녹색, 회색, 올리브 겨자 등.
- 식욕의 배경색은 그린계열이 좋음
- 타이포 그래피의 무게는 명도가 가장 영향을 많이 작용함 (명도 > 색상 > 채도)
> 심리적 무개 : 백색 < 황색 < 파랑색 < 회색 < 적색 < 흑색
- 위치감
: 진출/후퇴는 교통에 사용
: 진출 (빨강 주황등 난색계 채도가 높고 밝은색), 후퇴 (파랑등의 한색계와 어둡고 칙칙한 색)
디자인수업 (11년 上)/타이포 그래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