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다큐 이야기

[EBS 기획 다큐멘터리] 2편 - 동기, 없는 아이는 없다

 - 아이들마다 학습 성취도가 다른 이유는 무엇인가?

 - 학습에서 소극적으로 대하는 아이들, 흥미를 가지지 못하는, 또한 남들과 상의하여 과제를 푸는적이 없는 아이들 즉, 학습에 대해서
   내적동기가 단 하나도 없는 아이들은 왜 그럴까? 

    하지만 보상이 있는 학습에는 동기가 강한아이? 무엇을 할 때 마다 보상을 받는 아이, 시험점수 90점 넘을때 마다 돈주는 부모?

   과연 맞은 것일까?

 - 보상의 대가는 없는가?

 - 아이들의 동기부여를 위해 보상을 하는것은 가장 쉬운방법이다. 여기서 간단한 실험을 해보자

  1. 색 찰흙이라는 놀이가 있다. 유치원에서 색찰흙에 가장 관심을 가지는 11명의 아이를 뽑은 후, 2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A. 색 찰흙을 가지고 가장 좋아하는 것을 만들어 보라고 요청한 집단.
    B. 색 찰흙을 가지고 이쁘게 만들면 선물(볼펜)을 주겠다고 한 집단.

  2. 위 실험을 한 후 7일 후 다시 유치원에가서 색찰흙을 가지고 놀게 하였다.

  
   아래 맨 위에 오른편에 아이얼굴 아랫쪽에 선물상자 표시가 있는 아이들이 7일전 색찰흙 놀이에 대해 보상이 주어졌던 집단이다.
   이 아이들이 30분 후에 해당하는 놀이, 즉 색 찰흙을 얼마나 계속해서 가지고 노는가에 대한 실험이다.


   30분 후에 아이들은 아래와 같이 다른 놀이로 이동하였다.
   보상을 받지 않은 아이들 5명 중 4명은 계속해서 색 찰흙 놀이를 하고 있다.
   보상을 받은 아이들 6명은 모두 색 찰흙놀이를 그만두고 다른 놀이로 이동하였다. (상당히 재미있는 결과이다.)
  
   ▶ 보상이 아이들에 대한 내적 동기를 완전히 떨어뜨리게 된 것이다.
       자신이 좋아하던, 좋아하지 않던, 어떤 일에 보상이 주어지기 시작하면, 그 일의 본질을 보상으로 판단하고,
       더이상의 보상이 없다고 판단하면, 그 일에 대한 동기(보상)는 완전히 소멸되게 되는것이다.



 - 그렇다면 모든 보상이 아이들의 내적동기에 안 좋은 영향을 미치는 것일까?

 - 최근 카이스트의 자살하는 학생이 문제가 되었는데, 이는 평가목표의 정확한 피해자가 아닐까?

 - 5~6학년의 초등학교 여자아이들에 실험을 하였는데, 쉬운 문제는 아주 원할하고 잘 풀어내었지만, 어려운 문제에 접하자 짜증을 내고
   급격하게 위축되는 모습을 보였다. 소위 똑똑한 여자아이들이 나타내는 전형이었다.
 


 - 또한 아이들 간, 혹은 형제간, 또는 자매, 남매간 비교하는 것은 어떨까? 실험에서는 쌍둥이가 실험대상으로 나온다.

 - 한 명은 우수하고 차분한 반면, 다른 한 명은 행동이 거칠고 다른 양상을 보였다. 동생이 차분하고 우수했는데, 형은 이점을 이겨보기
    위해서 튀는 행동이 발생하고 이러한 행동이 학습에 장애를 가져오게 되는것이다.

 - 특히 남에의한 비교보다 형제, 자매, 남매간의 비교는 상상할 수 없을 정도의 최악의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너의 형은 이런데 넌 왜 이러니, 동생 반 만 닮아라! > 이런 말은 아이를 망치는 최고의 방법이다.)

 - 학습된 무기력 상황 : 스스로에게 난 이건 못할꺼야. 답이 틀린걸 알면서도 고치길 포기한 아이 즉, 동기가 완전 상실된 아이들

 - 위의 원인은 무엇일까? 실험대상에 부모가 문제였는데, 위의 형제들 대학을 간 형제들과 비해서, 형은 공부해서 대학같는데,
    공부 안하면
뭐가 될꺼니? 의사하자! 판사하자! 육사가자! 이러한 부담을 아이에게 가하고,
    아이는 그에 대해 부응하기 위해 노력하다. 실패를 반복하게
되고, 결국 해도 안되는 구나 라는 무기력 상황을 만들어 낸다.


 - 칭찬은 동기를 일으키는 가장 좋은 방법인데, 이 칭찬은 반드시 구체적이고 절대적으로 시행해야 한다. 전체적인 과목에 대해
   잘했다라가 아니라, 넌 이과목을 잘 하는구나 이다. 총점이 높지 않다고 해서 공부를 못하는건 절대 아니기 때문이다.

 - 동기를 부여하는 것은 바로 자신감이다. 자신감이 있으면 동기가 부여되고, 이것이 학습으로 이루어지는데, 그럼 자신감을 생겨
    가게 하는 방법을 알면 된 다는 것이다.


 - 아이들이 스스로 깨우치는 시간의 여유를 주는것.
   아이가 혼자 하겠다고 하면 즉시 부모는 행동을 중지하고, 아이의 협력자로 변해야 한다.


 - 자 정리를 해보자면, 어떤 부모나 자신의 자녀들이 우수하게 세상을 살아가길 원하는데, 
 
  1. 이것을 위해서는 동기라는 것이 있어야 한다.

  2. 동기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자신감이 필요하다.

  3. 자신감을 위해서는 작은 상황의 성공, 과정의 성공이 필요하다.

  4. 작은 상황, 과정의 성공은 부모가 대신 해주는 것이 아닌, 아이 스스로 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면 된다.

  5. 그리고 부모는 작은 성공과 과정의 성공에 대해서 칭찬을 해주면 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