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디자인사를 알아야 하는 이유는 역사를 알아야 현재를 알 수 있기 때문에, 또한 역사적인 것을 답습하고 있는 경우가
상당히많기 때문이다.
- 바우하우스 : 모더니즘의 원점 vs 아르데코 : 장식적 모더니즘의 기원
- 1901년 빅토리아 여왕의 사망으로 빅토리아 시대의 절충주의 디자인 쇠퇴 (나중에 포스트 모더니즘의 아주 중요한 키가됨)
- 1851년 이후 20세기 초 미국과 독일로 산업생산의 주도권이 넘어감.
상당히많기 때문이다.
- 바우하우스 : 모더니즘의 원점 vs 아르데코 : 장식적 모더니즘의 기원
- 1901년 빅토리아 여왕의 사망으로 빅토리아 시대의 절충주의 디자인 쇠퇴 (나중에 포스트 모더니즘의 아주 중요한 키가됨)
- 1851년 이후 20세기 초 미국과 독일로 산업생산의 주도권이 넘어감.
- 1914년 세계 1차 대전과 1917년 러시아 공산주의 혁명이 20세기 세계사의 방향에 중요한 영향을 끼침. 이러한 것으로
디자인의 영역에는 기능적인 효율성을 중시하는 디자인 경향이 강하게 나온다.
- 1907년 독일 베르크분트 (독일 공작연맹 DWB : 산업생산 국가기관 등이 표준화를 만드는 협의체)
- 베르크분트와 동시대에 바우하우스는 교육적의미의 디자인 개념을 펼치는 곳이 된다.
- 모더니즘은 실제적으로 비엔나 분리파 → 독일 베르크분트가 그 뿌리
- 1907년 독일 건축가인 헤르만 무테지우스가 영국의 디자인을 보고 독일의 디자인 기능을 발전시키기 위해, 영국의 장식적
디자인 기반의 내용을 표준화와 모듈화등의 디자인 패러다임을 주장하게 됨.(베르크분트에서)
- 이때 페터베렌스와 미스 반 데어 로에등이 표준화등에 적극 옹호하게 된다.
- 모더니즘은 크게 독일 베르크분트의 존재와 네덜란드의 신 조형주의 운동(Der Stll)이 가장 큰 영향을 주며, 이 운동은
독일의 바우하우스에 큰 영향을 주었다. (기하학적인 추상미술 운동을 말한다. 몬드리안 같은 디자인과 아주 흡사)
- 위와 같은 동시에 러시아 구성주의도 훗날 모더니즘의 뿌리가 된다.
- 바우하우스는 현재 디자인교육의 원점(1919 - 1933)
아래 3번에 걸쳐 변화를 겪음.
1. 1919 ~ 1924 : 바이마르기
> 바이마르 미술대학과 + 공예학교를 합병하여, 기술과 미술을 함께 가르침. (1919년 국립대학으로 출범)
2. 1924 ~ 1932 : 데사우기
3. 1932 ~ 1933 : 말기
- 바우하우스의 디자인 교육은 반 역사주의 기반이었다. 즉, 현재에 집중하고 어떻게 하면 Amenity를 가할 수 있을까를
주된 논점으로 생각했기 때문에 기존의 역사를 반하게 되었다.
- 바우하우스의 교수진 : 파울쿨레, 바실리 칸딘스키, 리오넬 파이닝거 등
- 르 꼬르뷔지에 : 순수한 모더니즘을 추구 (건축학이나 디자인의 아주 표준이 되고 중요한 개념)
☆ 빌라 사보아
> 처마 처럼 앞부분에 그늘이 생기는 공간을 매개공간이라고 한다. (또는 전이공간)
> 중간 매개공간을 보면 심리적으로 내부로 들어가는 구나라는 느낌을 들 수 있게 하였다.
> 건물의 앞 부분을 보면 몬드리안의 면적 분할처럼 구성되어있는 문과 유리창 들을 만날 수 있다.
- 모더니즘은 장식적 재미를 제거하면서 면적비례와 면과 선의 구분을 명확히 하는것으로 대신한 재미와 감성을 주는 것
- 기하학적 장식미술 (모더니즘의 기능적인것을 장식적으로 추구한것) : 아르데코 (1925~1939)라 한다.
> 주로 모더니즘 성향이 무한히 반복되는 느낌, 선 도형 등이 계속해서 많이 반복되는 형태의 특징을 가진다.
- 프랭크 로이드 라이트 : 스토러(storer) 주택 내보는 빌라사보아 때보다 훨씬 많이 쪼개어서 아르데코의 전형을 보여줌
- 1930년대 뉴욕현대 미술관 > 1930년의 대공황 상황을 벗어나기 위해 초기의 모더니즘이 크게 확산이 된다.
> 이러한 개념을 '국제주의 양식'이라고 한다.
> 국제주의 양식 : 가장 경제적인 재료로 가장 합리적으로 만들어 나가서 합리적으로 쓰게 하는 디자인(경제상황고려)
- 1950년대 쯤 2차 세계대전으로 모더니즘은 소강상태에 빠지게 됨.
- 1933년에 바우하우스에서 교육받았던 사람들이 2차대전 나치의 탄압을 피해 미국으로 넘어가서 크게 꽃 피우게 되는 시초.
> 이때 부터 1950년때 까지 이들에 의해서 발전되게 됨.
> 장식 배제, 개방성, 확장성, 기능적, 효율적인 개념을 크게 반영
- 2차 대전이후의 모더니즘 : 국제주의 양식이 우세하게 됨.
> 소재가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소재가 크게 사용 되게 됨.
> 이후로 전 세계적으로 모더니즘이 크게 대세가 되는 것이 현재까지 이어짐, 일부 포스트 모더니즘이 있으나 아직 대세적
모더니즘이 현 시대의 디자인 패러다임이라고 할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