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늘 수업은 실제 가시화 작업 이전에 Proto Type의 것을 설계하는 작업
- 스토리 보드 : 전체적인 스토리를 그림으로 나타내는 것, 실행 작업 후의 실수를 최소화 하기 위해서 개발자와 제작자간의
필연적 커뮤니케이션 도구
- 순서도 vs 스토리 보드
> 순서도는 유기적인 흐름과 제어흐름을 명시
> 스토리 보드는 각 페이지 별로 들어가는 것을 명세하는 기능 (에니메이션 등의 좀 더 화면한 신scene에 치우치는 것
- QOOK TV를 설계하는 과정
- IPTV를 마이크로 사이트를 통해서 온라인 가상체험을 통해 가입을 유도하는 것
1. 목표는 위에서 말한 것.
2. 정의
3. 분석
4. 전략
a. 사용성 전략 (easy, fast, look & feel) > 사용성
b. 비쥬얼 컨셉 전략 (look & feel, fun, simple) > 심미성
a,b를 가지고 실제 전략을 기술 한다.
> 기획의 구체화 : 산출물은 사이트맵 플로우차트 화면설계 스토리보드 등이 있다.
컨텐츠 도출 > 컨텐츠 리스트 작성 > 정보분류, 구조화(IA) > 레이블링 > 내비게이션 체계 > 컨텐츠 배치
의 순서로 화면을 설계
> 컨텐츠 그루핑 : 컨텐츠를 쭈욱 order대로 나열하는것이 아니라, 어떠한 feature를 추출해서 해당되는 것들로 배치하는 것.
- 스토리 보드의 기능
1. 기획작업의 총결산
2. 제작시의 원할한 커뮤니케이션을 유도
3. 멀티미디어 컨텐츠 개발을 위한 설계도
4. 사용성 평가의 시작
> Labeling : 카피를 어떻게 넣을 것인지.
> 스토리 보드는 마치 설계도 처럼, 프로젝트, 단계 작성일, 페이지 번호, 카테고리, 작성자, Description, 그리고 메인 그림
등으로 구성된 설계도와 같은 것이다.
> 메인 그림에 labeling 을 삽입하여 효과적으로 전달할 내용을 넣는다.
> 메인그림에 네비게이션도 같이 그려진다.
: 스토리 보드는 말그대로 하나하나 화면의 모든 일어날 수 있는 움직임과 디테일을 모두 설계하는 것을 화면으로 가급적
정확하게 표현하는 것.
>> UI(User Interface) = IA + Usability + Interface = GUI = Story Board
디자인수업 (11년 上)/멀티미디어 디자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