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품 디자인 (Product Design)
> 대량생산을 전제로 하였으나, 최근에는 다품종 소량생산의 트렌드도 있음
> 기능과 형태가 합리적이여야 한다.
> 기본 방향은 기능과 만족성을 위주로 설계가 되고, → 앞의 것이 만족되면 심리적 심미적인 측면이 반영되어야 한다.
> 신 기술과 신 기능을 탑재하는 중요한 과정이 된다.
> 제품 디자인을 할 때에는 그 제품이 놓여질 수 있는 장소를 고려해서 디자인 되어야 한다.
> 상황에 따라서 Stand alone인가 system으로 활용될 수 있는가를 반영
> 주변여건이 제품의 특징을 결정한다.그리고 사용자에 따라서도 다르고 목적에 따라서도 다르게 디자인 되어야 한다.
> 재질에 따라 다르게 해석되어야 한다.
- 상품 디자인
> 제품이 디자인되어서 생산이 되면 상품이 됨.
> 제품디자인은 인간을 기반으로 하지만, 상품디자인은 소비자를 기반으로 함
> 제품은 인간의 쾌적함을 중요시 하지만, 상품은 기업의 영리를 보장해야 한다.
> 유통을 고려해서 상품을 디자인 해야 한다. (상품가격 절감에 영향을 준다)
> 상품디자이인은 기업의 이미지와 아이덴티티를 부여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 디자인 광고는 상품판매에 지대한 영향 : 기업의 이미지를 만드는 주된 것
> 디자인과 포장 : 내용물을 보호 보관 유지 정보제공 그리고 상품의 품격과 이미지를 대변한다. 반투명 또는 고급감.
- 제품 디자인 아이디어
> 근본적인 분석 : 시침이 2가닥으로 나누어져 있는 시계, 특정국가를 위해서 사용할 수 있다.
형태와 스타일 측면의 아이디어는 수명이 짧다.
> 역발상 : 자전거를 디자인 한다고 하면 기존의 디자인을 놓고 형태를 막 바꾸려고 하는데 이것이 단명하는
디자인 방법(형태나 스타일)
킥보드 같은 자전거라면 개념이 다르기 때문에 더 좋은 아이디어가 나오게 된다.
디자인수업 (11년 上)/생활속의 디자인